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5 서울시 1인가구 지원 정책 정리
    카테고리 없음 2025. 2. 26. 19:03
    반응형

     

     

    1. 주거 지원

    (1) 1인 가구 주택관리서비스

     

    서울시는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1인 임차가구를 대상으로 '신속생활불편처리', '홈케어', '클린케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혼자 사는 임차 가구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

    • 서울시에 거주하는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1인 임차 가구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20%: 1인 가구 월 소득 2,870,416원 이하

    확대 지원 대상:

    • 서울시 거주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 다인 임차 가구
    • 서울시 거주 만 65세 이상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어르신 부부 임차 가구
    • 전세 사기 피해로 인해 긴급한 주택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가구

    지원 내용:

    1. 신속 생활불편 처리:
      • 형광등 교체, 수도꼭지 수리, 콘센트 및 전기 스위치 교체, 출입문 손잡이 및 경첩 수리, 커튼·블라인드 설치, 욕실 미끄럼 방지 매트 설치 등 일상적인 주거 불편 사항을 신속하게 처리합니다.
    2. 홈케어 서비스:
      • 지역 집수리 업체를 활용하여 1인 가구에 맞는 소규모 집수리를 지원합니다.
    3. 클린케어 서비스:
      • 독거노인, 장애인, 저장 강박 등으로 인해 주거 환경 개선이 필요한 가구를 대상으로 정리 수납 및 공간 활용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신청 방법:

    • 준비 서류: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임대차계약서
      • 소득 증빙 서류 (수급자 증명서, 차상위계층 확인서,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등)
    • 신청 절차:
      • 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 또는 주거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 온라인 신청은 서울주거포털에서 가능합니다.

    (2) 청년 월세 지원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덜기 위해 월 최대 20만 원을 최대 12개월 동안 지원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 연령: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무주택 청년
    • 거주 조건: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며,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및 월세 60만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자
    • 소득 기준: 청년 본인 가구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부모 포함)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지원 내용:

    • 지원 금액: 월 최대 20만 원
    • 지원 기간: 최대 12개월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2월 26일부터 2026년 2월 25일까지
    • 신청 방법: 온라인 포털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해당 지자체의 공식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사항:

    • 중복 지원 제한: 기존에 정부의 다른 주거지원 혜택을 받고 있는 경우, 중복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지역별 차이: 지자체별로 지원 내용이나 신청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거주 지역의 지자체 공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사회적 고립 방지 및 공동체 지원

    서울시는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을 방지하고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혜택으로는 주거 및 임대 지원, 생활 안전 서비스, 건강 및 심리 상담 서비스,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 등이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서울시 전역에 25개 센터가 운영 중입니다.

     

    주요 운영 내용:

    1. 상담 서비스:
      • 1:1 맞춤형 상담: 생활, 심리, 주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 상담을 제공합니다.
      • 정책 정보 제공: 1인가구를 위한 각종 지원 정책과 프로그램 정보를 안내합니다.
    2. 프로그램 운영:
      • 사회적 관계망 형성: 요리 교실, 독서 모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1인가구 간의 교류를 촉진합니다.
      • 생활 지원: 셀프 집수리, 재무 관리 교육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심리 지원: 미술 심리치료, 스트레스 관리 워크숍 등을 통해 정신 건강을 지원합니다.
    3. 안전 지원:
      • 주거 안전 강화: 도어 카메라 설치, 긴급 출동 서비스 연계 등을 통해 1인가구의 주거 안전을 도모합니다.
      • 안심 동행 서비스: 병원 방문 등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동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용 방법:

    • 운영 시간: 센터별로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하며, 토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합니다. 공휴일은 휴관입니다.
    • 참여 신청: 각 센터의 공식 웹사이트나 전화 문의를 통해 프로그램 신청 및 상담 예약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