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자동차 차종별 보조금 정리 및 지자체별 추가 지원금카테고리 없음 2025. 7. 4. 09:05반응형
2025년 차종별 보조금 예상 (국비 기준)
(2025년 기준, 환경부·EV 통합누리집 기준)
- 중·대형 승용차 (주행거리 ≥ 440km, 가격 ≤ 5,300만 원):
→ 국비 최대 580만 원 - 소형 승용차 (주행거리 ≥ 280km, 가격 ≤ 5,300만 원):
→ 국비 최대 530만 원 - 초소형·경형 전기차:
→ 국비 200만 원, 지자체 지원 포함 시 추가 가능 - 전기화물·승합차:
→ 최대 국비 보조금 1,050만 원 또는 770만 원 등 차종별 상이 - 보조금 감액 기준:
- 차량 가격 5,300만 원 초과 8,500만 원 미만: 보조금 50% 지급
- 8,500만 원 이상: 보조금 없음
- 성능 평가 기반 차등 지원:
- 주행거리·충전속도·안전 기능 기준 충족 여부에 따라 지급액 증감
Pixabay로부터 입수된 Stefan Schweihofer님의 이미지 입니다.
지자체별 추가 지원 정책 비교
■ 서울특별시
- 지자체 추가 보조금:
- 다자녀 가구: 자녀 2명 = +100만 원, 3명 = +200만 원, 4명 이상 = +300만 원
- 2025년 보급 규모: 민간 4,388대, 전체 19,876대 예정
■ 경기 성남시 등 일부 지자체
- 다자녀 및 저소득층 인센티브 정책
- 여러 지자체에서 다자녀·차상위 대상 우선 배정 및 수백만 원 수준 추가 보조
- 충전 인프라 연계 지원
- 주택 내 완속충전기 설치 시 설치비 일부 지원
- 화물·승합 구매 우대
- 지역 내 화물·승합 전기차 구매 시 차량별 추가 50만~200만 원 보조
※ 지자체별 차종 및 예산 규모 차이 있음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지자체 차종별 보조금' 메뉴 통해 확인
반응형2026년 차종별 보조금 전망
- 국비 보조금 기조:
2025년 중·대형 580만 원, 소형 530만 원 → 2026년부터는 성능 평가 중심으로 조정되고 일부 감액 예상 - 차종별 세부 금액:
- 2026년부터는 차량 성능(주행거리, 충전속도, 안전장치 등)에 따라 보조금 차등 적용
- 예: 주행거리 440km 이상 중·대형 → 최대 지급, 이하 차량은 단계적으로 삭감
- 지자체 보조금 변화:
- 서울·경기 일부 지자체는 2026년에도 다자녀·청년 지원 유지할 계획, 예산 상황에 따라 일부 조정될 수 있음
📌 결론
- 2025년: 국비+지자체 추가 지원 최대한 활용 → 차종·조건 충족하면 티어당 최대 800만 원대 국·지방 합산 보조금 가능
- 2026년: 성능 중심의 보조금 체계 전환 → 보조금 규모 줄고, 비교·분석 필요해짐
- 구매 전략:
- 특정 지자체 거주 확인
- 다자녀·청년·차상위 요건 충족 여부
- 차종별 성능(주행거리, 안전장치) 기준 충족 여부
→ 이 3가지 모두 점검 시 2025년 중 구매가 가장 유리할 수 있음
반응형 - 중·대형 승용차 (주행거리 ≥ 440km, 가격 ≤ 5,300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