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야구 규칙, 각종 야구 용어 총정리
    카테고리 없음 2025. 7. 9. 15:33
    반응형

    야구의 규칙, 어려운 상황별 룰, 고급 용어들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특히 경기 관전 시 잘 이해되지 않는 장면이나 규정들을 중심으로 설명드립니다.


    ⚾ 야구 규칙 정리

     

    ✅ 인필드 플라이 (Infield Fly Rule)

    • 정의: 주자가 1루, 2루(또는 만루)일 때, 노아웃 또는 1아웃 상황에서 타자가 내야에 평범한 뜬공을 쳤다면 자동으로 타자 아웃 선언됨.
    • 이유: 고의로 떨어뜨려서 병살(더블 플레이)을 유도하는 것을 방지.
    • 포인트: 반드시 심판이 선언해야 인필드 플라이가 적용되며, 타자가 달려도 이미 아웃.

    ✅ 보크 (Balk) – 투수 반칙 행위

    • 정의: 투수가 주자를 속이기 위한 부정 행위를 했을 때.
    • 결과: 주자 각자 한 루씩 진루함.
    • 예시:
      • 세트포지션에서 정지 없이 투구
      • 투구 동작 중 갑자기 송구 포기
      • 루에 던지는 척 하며 투구 시도
      • 마운드를 벗어나지 않고 송구 등
    • 보크는 심판 재량이 크게 작용하므로 논란이 잦음
     

     스트라이크 낫 아웃 (Dropped Third Strike)

    • 정의: 타자가 삼진(스트라이크 3개)을 당했지만, 포수가 3번째 스트라이크 공을 바로 포구하지 못한 경우, 타자가 1루로 달릴 수 있는 규칙입니다.

    🔹 조건

    1. 1루가 비어 있거나,
    2. 1루 주자가 있어도 2아웃인 경우

    ➡️ 이럴 때 타자는 1루로 출루 가능
    ➡️ 수비는 타자를 직접 태그하거나 1루로 송구해서 아웃 처리해야 함

    🔹 왜 중요한가?

    • 실전에서 종종 삼진인데도 타자가 뛰는 상황이 발생하며,
    • 포수가 놓치면 예상치 못한 주자 출루로 이어져 경기 흐름이 바뀔 수 있음
    • 낫 아웃을 1루 송구 실수로 놓치면 기록상 삼진+실책 또는 삼진+진루가 됩니다.

    🔹 실전 예시

    • 2아웃, 주자 없음, 타자가 삼진 → 포수 포구 실패 → 타자 1루 도달 → 이닝 지속!
    • 이 상황에서 타자는 삼진을 당했지만 살아남는 특이한 경우입니다.
     

    ✅ 포스 상황 vs 태그 상황


    상황 설명
    포스 아웃 앞 루로 무조건 뛰어야 하는 상황에서 수비가 먼저 루 밟으면 아웃
    태그 아웃 주자에게 직접 공을 들고 태그해야 아웃됨
     

    ※ 타자가 출루하면 다른 주자들도 밀려나기 때문에 "포스 상황"이 자주 발생함.

     

    반응형

     

    ✅ 인터피런스 (Interference) & 옵스트럭션 (Obstruction)


    타자 인터피런스 타자가 포수 송구/수비를 방해했을 때
    주자 인터피런스 주자가 수비 플레이 방해
    수비 옵스트럭션 수비수가 공을 갖고 있지 않으면서 주자 주행 방해

     

    • 인터피런스 시 방해 선수 아웃, 옵스트럭션 시 주자에게 진루권 부여

     

    Pixabay로부터 입수된 Andreas Volz님의 이미지 입니다.

    ✅ 드롭드 삼진 (Dropped Third Strike)

    • 정의: 삼진 상황에서 포수가 공을 놓쳤을 경우, 1루가 비어 있으면 타자는 1루로 뛸 수 있음.
    • 조건:
      • 1루 비어 있거나, 1루 주자가 있어도 2아웃일 때 가능.
      • 포수가 바로 잡지 못하면 타자 주자가 되고, 수비는 태그하거나 1루 송구해야 함.

    ✅ 타격 관련 고급 규정


    번트 공을 휘두르지 않고 배트에 살짝 갖다 대는 타법
    슬러그링 퍼센트 (SLG) 타자의 장타력을 측정하는 지표
    타점 (RBI)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여 얻는 점수
    OPS 출루율 + 장타율. 타자의 종합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
     

    💬 심화 용어 & 상황 설명


    스퀴즈번트 주자가 3루에 있을 때 번트를 시도해 홈으로 불러들이는 작전
    히트 앤 런 주자가 뛰고 동시에 타자가 공을 치는 작전
    세이프티 번트 상대 수비 허점을 노리고 타자가 출루를 노리는 번트
    라운드 트리플 주자가 한 번에 3루까지 가는 강타구
    파울 팁 타자가 공을 살짝 치고 포수가 바로 잡으면 스트라이크
    투수 교체 제한 최근 도입된 룰로, 투수는 최소 3타자 상대 또는 이닝 종료 후 교체 가능 (MLB 기준)
     
    Pixabay로부터 입수된 Keith Johnston님의 이미지 입니다.

    콜드게임과 서스펜디드 게임


    콜드게임 일정 점수 차 이상일 때 조기 종료 (예: 5회 10점 차 이상)
    서스펜디드 게임 날씨나 조명 문제로 중단된 경기, 다음 날 이어서 함
     

    🎯 실전에서 자주 나오는 고급 상황

    • 1루, 2루 주자 / 1아웃 → 병살 위험 상황
    • 3루 주자 / 내야 땅볼 → 홈 송구할까 말까 선택
    • 2사 만루 → 실책 유도 번트 작전
    • 투수가 스트라이크 두 개 잡고 갑자기 고의 4구 던지기 (전략적)
    • 내야진이 앞당겨 수비 시 도루 유도 작전

     


     

    KBO 리그 2024년부터 연장전 규정 변경


    항목 2023년까지 2024년~ (최신)
    연장 이닝 한도 12회까지 11회까지만 연장 허용
    정규시즌 무승부 기준 12회 종료 시 동점 11회 종료 시 동점이면 무승부 처리
    포스트시즌 무제한 (최대 연장) 무제한 유지 (연장 제한 없음)
     

    🔹 취지

    • 경기 시간 단축 및 투수 소모 방지를 위한 조치
    • 특히 KBO 리그는 평일 저녁 경기의 시간 문제를 고려함

    🔹 참고

    • MLB는 연장 10회부터 자동 2루 주자 제도 사용 (2020년 도입, 2024년 현재 유지 중)
    • KBO는 자동 주자 제도 미적용, 순수 승부 방식 유지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