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성인 ADHD, 번아웃 증후군 테스트 해보기, 그 외 성인 정신질환 정리
    카테고리 없음 2025. 7. 6. 01:41
    반응형

    1. 성인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정의

    ADHD는 어린 시절에 시작되어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신경발달장애입니다. 성인 ADHD는 주로 주의력 결핍, 충동성, 정서 조절 어려움 등의 특징을 보이며, 일·관계·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 주의력 결핍형
      • 집중 유지 어려움, 실수 잦음
      • 일의 마무리가 어려움, 정리정돈 부족
    • 과잉행동/충동형
      • 말이 많고 차례를 기다리는 것이 어려움
      • 불안정한 충동 조절
    • 정서적 문제
      • 감정 기복이 크고, 짜증·우울 동반 가능

    🎯 원인

    • 유전적 요인 (가족력 존재 시 위험 증가)
    •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 뇌 신경전달물질 불균형
    • 출생 전후 스트레스, 환경독소 노출 등

    🩺 진단

    • 정신건강의학과 상담
    • DSM-5 진단 기준 기반 면담
    • 성인 ADHD 설문지 (예: ASRS 검사)

    💊 치료

    • 약물치료: 메틸페니데이트(콘서타, 페니드), 아토목세틴(스트라테라) 등
    • 인지행동치료(CBT): 시간관리, 충동조절, 정서조절 훈련
    • 생활관리: 플래너 사용, 루틴화, 운동 습관

     

    Pixabay로부터 입수된 mhouge님의 이미지 입니다.


    ✅ 2. 번아웃 증후군 (Burnout Syndrome)

     

    📌 정의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업무 과중으로 인해 신체적·정신적·감정적 탈진 상태가 되는 현상입니다. 직장인, 부모, 간병인, 의료인 등에서 특히 흔히 나타납니다.

    🔍 3대 주요 증상

    1. 탈진: 극심한 피로, 기력 없음
    2. 냉소적 태도: 일에 대해 무감각, 부정적 인식
    3. 효능감 저하: 자기비하, 성취감 부족

    🎯 원인

    • 과도한 업무, 낮은 통제력, 비현실적인 기대
    • 성격적 요인: 완벽주의, 책임감 강한 성향

    🩺 진단

    • ICD-11에 따라 직무 관련 스트레스성 질환으로 분류됨
    • 임상적 면담, 피로도 검사 (MBI 등)

    💊 치료 및 회복 전략

    • 휴식과 거리두기: 장기 휴가, 회복 시간 확보
    • 스트레스 관리법: 명상, 운동, 상담
    • 업무 재조정: 업무 분배, 지원체계 요청
    • 전문 상담 치료: 필요 시 약물 병행 (불면·우울 동반 시)

     

    반응형

     


    ✅ 3. 성인기에 흔한 정신질환 정리


    질환 주요 증상 원인 치료
    우울장애 무기력, 슬픔, 집중력 저하 유전, 스트레스, 신경전달물질 문제 항우울제, CBT
    불안장애 과도한 걱정, 공황발작, 불면 유전, 외상경험 항불안제, 노출치료
    공황장애 갑작스러운 극심한 불안, 심계항진 불안 민감성, 뇌기능 이상 SSRI, 벤조디아제핀, CBT
    사회불안장애 사람 앞 불안, 발표·면접 회피 부정적 경험, 완벽주의 CBT, SSRI
    조현병 스펙트럼 환청, 망상, 현실 왜곡 도파민 이상, 유전 항정신병약, 인지치료
    양극성장애 우울↔조증 반복 기분조절장애, 유전 기분안정제, 심리치료
     

    Pixabay로부터 입수된 Abbat님의 이미지 입니다.


    ✅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간이용)

    주의산만, 일을 마무리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소한 일에도 쉽게 짜증이 나고 감정조절이 어렵다

    ✅ 업무를 생각하면 체력이 없고 무기력하다

    사람 많은 자리가 부담스럽고 피하게 된다

    잠이 잘 안 오거나 자주 깬다

    ✅ 나 자신이 쓸모없다고 느껴진다

    ☞ 2~3개 이상 해당되면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도움 받을 수 있는 곳

    •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별)
    • 정신건강의학과 병의원
    • 마음건강 상담 앱: 마인드카페, 트로스트 등
    • 국립정신건강센터: 1577-0199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