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금연치료 지원사업 정리, 금연 필수인 이유, 3차 흡연이란?
    카테고리 없음 2025. 4. 3. 12:45
    반응형

     

    Pixabay로부터 입수된 Martin Büdenbender님의 이미지 입니다.

     

     

    금연을 꼭 해야 하는 이유 

     

     

    담배는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건강을 심각하게 해치는 위험 요소이다.

     

    1. 건강 문제

     암 유발: 폐암, 구강암, 후두암, 췌장암 등 다양한 암의 주요 원인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흡연자는 뇌졸중, 심근경색, 고혈압 위험 2~4배 증가
     호흡기 질환 유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기관지염, 천식 등 발생 가능
     면역력 저하: 감기, 폐렴 등 감염병에 걸릴 확률 증가

     

    2. 2차, 3차 흡연으로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

     간접흡연: 흡연자가 옆에 있을 때 비흡연자가 담배 연기를 마시게 되는 것
     3차 흡연: 흡연 후 옷, 벽, 가구 등에 남아 있는 유해 물질이 공기 중으로 방출됨
     아이들에게 치명적: 간접흡연은 어린이의 호흡기 질환, 성장 장애, 면역력 저하 등을 유발

     

    3. 경제적 부담 줄이기

    ✔ 하루 한 갑(5,000원) 기준 → 1년 182만 원, 10년이면 1,820만 원 절약 가능
    ✔ 흡연으로 인한 질병 치료비(병원비, 약값) 절감 효과

     

    4. 외모 및 노화 방지

    ✔ 흡연자는 피부 노화가 빨리 진행됨 (주름, 피부 탄력 저하, 피부색 칙칙해짐)
     치아 변색, 입 냄새 유발

     

    5. 스트레스 해소의 오해

    ✔ 담배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된다는 것은 착각
    ✔ 니코틴 중독으로 인해 흡연하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끼는 것이며, 금연하면 오히려 스트레스가 감소

     

     

     


     

    3차 흡연의 위험성

     

     

    ✅ 3차 흡연이란?

    • 흡연 후에도 담배 속 유해 물질(니코틴, 타르, 포름알데히드 등)이 흡연자의 피부, 옷, 머리카락, 손, 입, 가구, 자동차 내부 등에 남아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현상
    • 시간이 지나도 제거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줌
    • 실내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흡연 후에도 흡연자의 몸에 남아 가족에게 전파
    • 특히 어린이, 노약자, 임산부에게 매우 위험

     

    1. 아이들에게 특히 치명적

    • 아이들은 성인보다 면역력이 약하고, 입과 손을 자주 얼굴에 가져가는 행동을 하기 때문에 3차 흡연 물질이 쉽게 체내로 흡수됨
    • 영유아 돌연사 증후군(SIDS), 폐렴, 천식, 중이염 등 호흡기 질환 발생 위험 증가
    • 학습 능력 저하, 주의력 결핍 장애(ADHD) 등 신경 발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

     

    2. 실내 공기 오염

    • 흡연 후 집에 들어오면 옷, 머리카락, 손, 입 등에 남은 유해 물질이 공기 중으로 퍼짐
    • 가구, 벽지, 침구 등에 쌓여 계속해서 방출되면서 가족들의 건강을 위협
    • 창문을 열어도 쉽게 사라지지 않으며, 실내 환경이 오염됨

     

    3. 피부와 머리카락에 남아있는 유해 물질 전파

    • 담배 연기 속 유해 물질이 흡연자의 피부와 머리카락에도 흡착
    • 아이를 안아주거나 가까이 있을 때 피부 접촉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음

     

    4. 입과 손에 남은 유해 물질로 간접흡연 유발

    • 흡연 후 입에서 나는 담배 냄새 속에도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음
    • 손에 남은 니코틴이 아기와 장난감, 식기류 등에 옮겨져 간접적인 노출을 유발

     

    5.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 악화

    • 3차 흡연 물질이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가족(특히 천식, 비염 환자)의 호흡기에 자극을 줌
    • 기침, 콧물, 두통, 눈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음

     

     

    Pixabay로부터 입수된 Alexa님의 이미지 입니다.

     

    ✅ 가족을 위해 흡연 후 해야 할 최소한의 조치

     

     흡연 후 최소 30분 이상 야외에서 머물기
     외출복을 반드시 갈아입고,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기
     입을 헹구거나 양치하기 (입냄새 속 발암물질 제거)
     흡연 후 아이들과의 접촉 최소화하기 (특히 안아주기, 뽀뽀 피하기)
     실내에서 절대 흡연하지 않기 (발암 물질이 벽, 가구에 남아 있음)

     

     


     

     금연 지원 제도

     

    대한민국에서는 흡연자의 금연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 보건소 금연클리닉 (무료 금연 프로그램)

    • 전국 보건소에서 운영하며, 금연 상담 및 지원을 받을 수 있음.
    • 지원 내용
      • 6개월간 9~12회 금연 상담
      • 니코틴 패치, 껌, 사탕 등 무료 제공
      • 금연 성공 시 기념품 지급 (텀블러, 전자혈압계 등)

     

    2. 병·의원 금연치료 지원사업 (금연치료 비용 지원)

    • 금연치료를 원하는 사람은 지정 병·의원에서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금연 치료 가능
    • 지원 내용
      • 최대 12주 동안 금연 치료 진행
      • 금연치료 약(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 등) 및 니코틴 대체요법(패치, 껌) 비용 일부 지원
      • 6회 이상 프로그램 이수 시 본인 부담금 100% 환급 가능

     

    3. 금연 상담전화 (1544-9030)

    • 국가 금연 상담 서비스로 전문 상담사가 맞춤형 금연 상담 제공
    • 금연 계획 수립, 위기 상황 대처법 등 지속적인 관리 가능

     

    4. 온라인 및 모바일 금연 프로그램

    • 국가금연지원센터 홈페이지(https://www.nosmokeguide.go.kr)에서 금연 프로그램 이용 가능
    • 금연길라잡이 앱을 통해 금연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동기 부여 가능

     

    5. 직장 내 금연 프로그램

    • 금연을 원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금연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참여 직원들에게 금연 성공 시 보상 지급 (상품권, 포상 휴가 등)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